맨위로가기

청풍면 (화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풍면은 대한민국 화순군의 면으로, 마한 시대에는 여래비리국의 일부였고 백제 시대에는 이릉부리군에 속했다. 1914년 세청면과 신풍면이 통합되어 청풍면이 되었으며, 현재 11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화순군 남부에 위치하며, 북쪽으로 춘양면, 동쪽으로 이양면, 남쪽으로 도암면, 서쪽으로 장흥군과 경계를 이룬다. 청풍초등학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순군의 행정 구역 - 화순읍
    화순읍은 전라남도 화순군의 중앙에 위치한 읍으로, 화순군의 군청 소재지이며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유서 깊은 지역으로 마한 시대 여래비리국의 일부였고 백제 시대 잉리아현의 중심지였으며 조선 시대 화순현의 중심 역할을 하였고 현재는 24개의 법정리와 다양한 아파트 단지를 포함한다.
  • 화순군의 행정 구역 - 도곡면
    도곡면은 전라남도 화순군에 위치한 면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과거 여래비리국과 이릉부리현에 속했고 조선시대에는 능주목의 서일면과 북면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오도면, 화남면, 대곡면이 통합되어 현재 12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 전라남도의 읍·면 - 회진면
    회진면은 전라남도 장흥군에 속하는 면으로, 백제 시대 마사량현에서 시작하여 고려 시대 회령을 거쳐 조선 시대 회령면으로 존속하다가 1986년 분면되어 현재 대리, 덕산리, 신상리, 진목리, 회진리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 전라남도의 읍·면 - 삼호읍
    전라남도 영암군 남서쪽에 위치한 삼호읍은 대불국가산업단지 조성으로 인구가 증가하여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영암군청과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이 위치하고 국도 제2호선으로 연결된다.
  • 1914년 설치 - 이촌동
    이촌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한강변 모래벌판에서 이주한 주민들에 의해 "옮겨진 마을"이라는 뜻으로 이름 붙여졌으며, 동부이촌동은 일본인 거주 지역, 서부이촌동은 개발이 진행 중인 지역이고, 한강공원, 국립중앙박물관 등 주요 시설과 이촌역을 통해 편리한 교통 환경을 제공한다.
  • 1914년 설치 - 담양군
    담양군은 다양한 농산물과 대나무 공예품으로 유명하며, 소쇄원과 죽녹원 등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을 가진 관광지이며, 1읍 1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길과 같은 관광 명소가 있고 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청풍면 (화순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화순 지도
화순 지도
한자 표기淸豊面
영문 표기Cheongpung-myeon
면적50.19km²
행정
광역시도전라남도
시군구화순군
법정리11개
행정리16개
50개
면사무소전라남도 화순군 청풍면 평지촌길 40 (차리)
홈페이지청풍면사무소
인구 통계
세대671세대 (2016년 6월 30일 기준)
인구1039명 (2022년 3월 기준)

2. 역사


  • 마한 시대 : 능주 방면과 함께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의 일부에 속했다.
  • 백제 시대 : 이릉부리군의 일부에 속했다.
  • 940년 (고려 태조 23년) : 릉성군을 능성현으로 고칠 때 능성현의 일부에 속했다.
  • 1018년 (고려 현종 9년) : 화순현과 능성현(綾城縣)이 나주목(羅州牧)에 속했다.
  • 1143년 (고려 인종 21년) : 능성현에 처음으로 중앙에서 파견한 현령이 부임해 오면서 능성현의 관할을 받았다.
  • 1416년 (조선 태종 16년) : 화순현을 다시 화순현과 동복현으로 분리하고 동복현에 현감을 두고 화순현은 능성현에 합쳐져 순성현(順城縣)이 되면서 순성현의 관할이 되었다.
  • 1418년 (조선 태종 18년) : 순성현을 다시 화순현과 능성현으로 분리하였다.
  • 1632년 (조선 인조 10년) : 능주목으로 승격되었다.
  • 1759년 발간된 여지도서(與地圖書)에 의하면 능주목 10개면 중 서변면으로 기록되어 있다.
  • 1789년 (조선 정조 13년) : 호구총수(戶口總數)에 의하면 능주목 10개면 중 서면으로 기록되어 있다.
  • 1864년 (조선 고종 1년) : 대동지지(大東地志)에 의하면 능주목 12개면 중 웅남면으로 기록되어 있다.
  • 1895년 (조선 고종 32년) : 나주부 능주군 세청면과 신풍면으로 있었다.
  • 1908년 :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능주군 17개면 중 세청면과 신풍면으로 되었으며 세청면의 관할리는 10개리, 신풍면의 관할리는 9개리였다.
  • 1910년 : 칙령 제354호, 357호(9월 30일 공포)에 의하여 도·부·군·면(道·府·郡·面)(面·社·坊통합)을 정비하면서 면사무소를 두기 시작했는데 세청면사무소는 차리 252번지에, 신풍면사무소는 청룡리 451번지에 설치하였다.
  • 1914년 3월 1일 : 부군면 통폐합에 의해서 세청면과 신풍면을 폐합하여 세청면의 '청'자와 신풍면의 '풍'자를 각각 취하여 청풍면이라 칭하고 11개리(풍암리, 한지리, 어리, 세청리, 신리, 차리, 대비리, 백운리, 청룡리, 이만리, 신석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 1932년 :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화순군 13개면 중 청풍면으로 되었다.
  • 1950년 : 한국 전쟁으로 면사무소 청사가 소실되어 면사무소 뒤편에 가건물을 지어 면 행정을 수행하였다.
  • 1961년 : 차리 252번지에 면사무소 청사를 재건축하였다.
  • 1988년 4월 : 구 청사를 헐고 면사무소 청사를 2층으로 신축하였다.
  • 1996년 10월 12일 : 백운리 1, 2리를 백운리로 통합하였다.

3. 지리

청풍면화순군의 남부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풍류재, 예성산(320m), 깃대봉(381.1m), 가덕골재, 금성치, 금성산(468m), 접팔재를 경계로 춘양면과 인접하고, 화학산(613m)을 경계로 도암면과 인접한다. 바람재, 국사봉(499.1m), 곰재, 봉미산(505.8m), 수캐봉(496m), 뗏재, 군치산(412m)을 경계로 장흥군과 경계를 이루며, 동쪽은 남에서 북으로 흐르는 지석천을 따라 이양면과 경계를 이룬다.[1] 지석천은 남쪽에서는 면의 중심부를 흐르고 북쪽으로 갈수록 이양면과 경계를 이룬다.[1]

4. 행정 구역

화순군 청풍면은 대비리, 백운리, 세청리, 신리, 신석리, 어리, 이만리, 차리, 청용리, 풍암리, 한지리 등 11개의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4. 1. 법정리 목록

법정리한자명행정리비고
대비리大庇里대비리
백운리白雲里백운리
세청리世淸里세청1구, 세청2구
신리新里신리1구, 신리2구
신석리新石里신석1구, 신석2구
어리漁里어리
이만리二晩里이만리
차리車里차리1구, 차리2구면사무소 소재지
청용리靑龍里청용리
풍암리風岩里풍암리
한지리閑池里한지1구, 한지2구


5. 교통

지방도 제839호선이 이만리에서 천변을 따라 개설되어 이양면 이양리로 이어진다. 국도 제29호선이 풍암리 입교 다리에서 풍무재까지 지나간다.[1]

6. 교육

청풍초등학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